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내방가사란? >기록 주체로서의 여성

기록 주체로서의 여성

내방가사란?
내방가사는 중세 피억압자의 위치에 있던 여성이 기록의 새로운 주체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내방가사가 처음 창작된 16세기 동아시아는 한자문화권의 중세적 질서가 지배하고 있었다. 이 시기 문자 활동은 양반 사대부라는 소수 남성의 전유물이었고, 문자로 기록된 지식과 교양은 이들에게 편중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은 늘 배제되고 소외된 존재가 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여성이 주도하는 내방가사 창작의 전통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여성은 양반사대부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한글을 자신들의 문자로 삼고, 이를 통해 그들 고유의 문자 활동을 펼쳐나갔다. 한글이라는 민족어가 본격적인 문자 활동의 매체가 되었다는 사실, 중세사회 억압의 대상이었던 여성이 비로소 기록의 주체가 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세계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민족어의 부상과 기록 주체로서의 여성의 출현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변환을 가장 분명하게 대변하는 징표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내방가사는 인류 역사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을 그대로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 중요성을 확보한다.

한글은 민족어로서 가치를 지니지만 한자문화권의 전통이 지배하던 시기에는 언문이라는 이름으로 폄하되었다. 특히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보편적 질서가 우선시 되던 중세에 한글은 여가를 즐기거나 감정을 노래하는 정도로 향유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내방가사는 한글이라는 민족어를 적극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근대로의 징표를 드러내는 기록물이라 할 수 있으며, 여성들이 한글을 통해 적극적인 기록의 주체로 나섰다는 점에서 세계적 중요성은 더욱 크다.

내방가사 향유자들이 처음부터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한글은 여성들의 언어로 적극 향유되었고, 여성들은 한글을 통해 지식을 쌓고 서로 만났다. 한글을 통한 ‘글하기’는 규방을 넘었고, 담장을 넘었으며, 서로 만나고 소통하는 ‘편지’의 역할을 하였고, 여성들의 고유한 놀이가 되었다. 여성들은 가사를 짓고 베끼면서 만났으며, 한글을 자신들의 언어로 만들었다. 여성들의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한글은 명실상부한 민족어로서의 위상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여성들은 한글을 통해 가족과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내방가사를 잘 하는 사람은 문중과 지역에서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가사 창작뿐 아니라 집안과 마을의 중요한 경조사에 필요한 문서를 작성하고 기록하는 역할을 했다. 특히 문중 행사나 지역의 중요한 행사에서 여성들의 가사짓기는 빠지지 않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고, 그때 지어진 가사는 공동체 내에서 지속적으로 베끼고 돌려 읽는 중요한 문화물이 되었다. 내방가사 창작과 향유는 여성들로 하여금 그들 스스로 소통하고 연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더 나아가 문중과 지역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문화 활동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