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내방가사 아카이브 >등재추진목록

내방가사 아카이브
등재추진목록

등재추진목록

문중 제목 크기(cm) 서체 내용 및 주기사항 책형태 소장처
(社)율은김저선생기념사업회 한글가사 25.5×203.5   경역가. 관너머 새고개를. 일제시대 고향(한양)에 돌아와 평생 소회를 읊픔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社)율은김저선생기념사업회 한글가사 20.3×367.0   화전가류. 앞부분 없음. 예천지방,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강릉유씨 벌방종가 한글가사 22.3×126.3   앞부분 없음. 우리 인생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강릉유씨 벌방종가 □여가 25.1×276.4   교여가라, 혼인하는 손녀 연광에게 준 것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경주손씨 중훈공파 주손가 대명복수가 10.0×10.5 行書 1928년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경주손씨 중훈공파 주손가 대명복수가 14.8×10.4 行書 戊辰(1929) 趙洪儧, 表紙註記:戊辰元月十七日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경주정씨 한압문중 정상열家 문소김시세덕가라 32.8×27.3 楷書 정부가(3월초2일) 한병역교 독안쥬일(갑지동짓달 니십오닐 별가서라) 문소김씨세덕가라(삼월 10일 맛침) 남대문을 열고보니(계사년사월 십일일)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경주최씨 칠계 백불암종중 한글가사 31.7×21.0 行書 한앵가 사젹 초전, 破本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고성이씨 보인재 도산별곡 16.5×86.5 行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고성이씨 보인재 북쳔가 26.0×400.0 行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고성이씨 보인재 한글가사 13.5×1427.0 行書 보존상태 불량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고성이씨 이동건家 한성시졀가 18.0×412.0   1952年 閏5月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광산김씨 담암공종중 화전가 23.0×1072.2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나주정씨 호암종택 중만송별 23.2×736.0   종반 이별. 을해(1935) 만주 이주. 만리타향으로 떠나는 사촌동생에게 준 것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나주정씨 호암종택 정영가 18.3×12.3   청앵가. 청량가의 이본. 193,40년대, 表紙:家庭振興要覽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나주정씨 호암종택 도산별가 20.8×216.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능성구씨 백담문중 화전가 25.1×239.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능성구씨 백담문중 훈민가 19.3×221.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능성구씨 백담문중 훈민가 24.9×264.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능성구씨 백담문중 한글가사 24.0×915.2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능성구씨 백담문중 계여가 28.2×254.8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단양우씨 우의하家 회방가 23.6×594.4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단양우씨 우의하家 관ᄒᆡ록 25.8×438.4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단양우씨 우의하家 한글가사 23.5×334.0   여행가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단양우씨 우의하家 화슈가 23.8×68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달성서씨 서정식家 한글가사 29.0×19.8 行書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달성서씨 서정식家 해몽가 19.8×369.2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동래정씨 주헌공파 정수만家 두견문답설화가라 30.7×196.0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동래정씨 주헌공파 정수만家 한글가사 27.3×261.6   고령도진박씨부인 수연 행장문,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밀양박씨 군수공파 일당가 한양가 32.0×25.0 楷書 이본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밀양박씨 송정문중 경헌고택 도덕가 등 19.0×129.0   울산. 갑자(1924) 12월 21일, 국한문 혼용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봉화 안동김씨 동평공주손가 츄풍감별곡 30.0×25.8 行書 書記:大正三年(1914)甲寅至月卄八日終書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봉화금씨 성재파 매정댁 은사가 25.7×342.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수원김씨 심회공파 건덕재문중 사친가 16.0×660.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수원김씨 심회공파 건덕재문중 한글가사 29.5×20.0   일부 훼손 성책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17.0×135.5 楷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18.0×67.5 楷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20.7×39.0 楷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21.0×39.3 楷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20.8×117.4 楷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23.5×603.5 楷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가일 해저댁 한글가사 33.2×19.7 楷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수곡후손가 눈물뿌린 이별가 17.5×351.0   눈물뿌린 이별가,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수곡후손가 답춘가 등 18.0×672.0   일제시대,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권씨 양의당후손 충천가 18.0×1481.7   일제시대, 소장자 亞島 權赫哲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사덕가 34.6×23.3 行書 훼손 심함 가철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상ᄉᆞ별곡이라 21.2×26.2 行書 을미 1895 가철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우미인가 19.7×14.3 行書 註記:쇼화칠년(1932) 가철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탄금가 18.1×15.9 行書   가철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퇴계선생가사 25.3×17.5 行書 퇴계선생 가사(해몽가, 지로가)낙애선생가사(술회가), 사신당가 가철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한글가사초 28.0×18.4 行書 오륜가류 가철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한양가 29.5×23.5 行書 일제시대 이본 가철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린곡가 23.8×29.3 楷書 해방전 만주 망명. 후반부 탈락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북쳔가 32.5×24.0 楷書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북쳔나라 33.4×24.4 楷書 북천가라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한양가 30.3×21.0 行書 1946 이본, 破本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한양가 27.5×20.5 行書 일제시대 이본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無題 29.5×19.0 楷書 破本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안동김씨 호장공파 출사표 27.7×10.5 行書 당왕찬 가사, 表題:義 절첩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야성송씨 현령공파 눌재고택 한글가사 21.0×250.0 楷行書 스롭고,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양주송씨 한성주부파 군산월니애원가 24.5×872.0   분예에실저기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양주송씨 한성주부파 한글가사 18.0×47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연안이씨 식산종가 가사 21.5×1082.0   병자곡,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회혼경일심회록 19.6×569.3   1968 회혼경축가. 부모의 회혼을 맞아 딸이 쓴 가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관해가 23.2×281.3   을미년(1895 또는 195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쥭산별곡 25.7×405.2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양남씨 괴시파 영감댁 전의이씨세덕가 27.2×142.3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양남씨 영해 광계정 누정가 15.6×343.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양남씨 영해 광계정 승이가 18.5×571.0   윷놀이와 관련된 가사. 척사대회에서 이기고 지은 것.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 오천정씨 삼휴종택 송수가 20.0×155.7   1966 성주외생(사위)가 지음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 오천정씨 삼휴종택 뉴전가 21.5×220.2   1966년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 오천정씨 삼휴종택 한글가사 22.8×215.3   1966년,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 오천정씨 삼휴종택 환□답가 27.3×487.6   환영답가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 오천정씨 삼휴종택 송슈가 20.9×222.2   1966년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 오천정씨 삼휴종택 화슈가 18.7×702.3   화슈가, 상동가, 상동답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 오천정씨 삼휴종택 한글가사 30.8×485.1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간산문고 한글가사 30.2×17.9 行草書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상장군파 칠석가 31.7×21.0 行草書 칠석, 화전, 낙빈, 백발, 도덕, 제석, 사친, 해몽, 옥실, 헌수, 농장, 원별, 낙루 12수, 壬申(1932) 3월 황순기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상장군파 화슈가 22.5×31.5 行草書 환기가, 여친가, 사형가, 소지가, 사친척가, 破本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상장군파 대명복수가 14.0×19.9 行書 정묘 정월, 영천군임고면 趙蒼軒, 表紙註記:丁卯正月十三日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상장군파 사친가 28.7×19.9 行草書 신미 3월 9일, 사친가, 여자탄, 여자탄이라, 여아훈기사, 노부인가, 노숙인다사가, 表紙註記:辛未三月草九日, 임신년4월 德山舍, 신미 3월 9일 장수황씨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상장군파 한글가사 29.7×446.4   모정부정, 破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구월향산가 22.7×615.3   상주고모 내보내시고 지은 것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망부석가사 24.6×1311.2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화류가 16.0×461.5   경신(1920 또는 1980) 3월 운두당 죽무 외내댁 필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여자교육가 17.0×635.2   본두당에 외내댁 필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회혼앙축가 21.7×267.3   손운새댁 지은 것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자녀훈계록 22.5×677.0   상듀고모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추억감 27.7×416.3   평해가사라고 한글로 주기가 되어 있음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옥녀사 27.2×1821.8   운두당네 외내댁 필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한글가사 26.5×510.5   1955년 5월 16일 US national affaira에 필사되어 있음,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하늘이 창조하신 24.1×93.5   일생 술회의 내용. 환갑 때 지은 가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답화수가 24.2×412.1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시골여자기 19.5×1055.0   시골여자 설은 사정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기사년맹 인덕담경은 26.2×109.4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물산의 31.2×19.5   어마님 친필이니 잘 간수하여라 라는 주기가 있다.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천이씨 운곡문중 화류곡     운두당에 외내댁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대흥백씨 성암공파 인량종택 한글가사 29.0×18.0 行書   성책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대흥백씨 성암공파 인량종택 한글가사 30.5×19.3 行書   성책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대흥백씨 성암공파 인량종택 한글가사 26.5×29.0 行書   성책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대흥백씨 성암공파 인량종택 한글가사 32.5×25.0 行書   성책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한글가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뇨회가 21.0×410.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백발가 21.5×405.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가사집 25.0×432.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가사집 19.0×528.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뇨회가 27.3×217.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가사집 19.3×119.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정부인장씨전 24.3×480.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서한가 18.7×923.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무안박씨 대소헌 회혼탄복가 21.5×700.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영해 재령이씨 존재파 간송문고 가사집 22.4×61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예안이씨 충효당파 양고고택 가사 15.7×21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예천 한양조씨 성암가 추풍감별곡 15.0×14.0 行書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예천 한양조씨 성암가 한글가사 21.7×469.7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예천 한양조씨 성암가 한글가사 19.6×44.5   교훈가. 한말을 들으나마, 破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재령이씨 평재공파 문중 한글가사 27.0×1011.0 行書 앞부분 탈락. 해하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재령이씨 후계파 답사친가 17.5×199.6 行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재령이씨 후계파 화젼가 11.8×616.0 行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재령이씨 후계파 조손별서 23.0×554.5 行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쳔산별곡 23.5×55.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류람가 22.7×390.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도덕가 31.0×162.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망월가 24.0×251.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화젼답가 22.7×207.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화젼가 22.5×207.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원별곡 20.8×399.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울해축답가 22.0×756.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원별답가 28.0×167.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상원가 24.5×541.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별지가 21.2×1076.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망월가·농장가 25.0×29.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부인권장가 22.5×405.5   1963년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화젼가 22.0×305.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쳔산별곡 14.3×104.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화젼뉴 30.5×97.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류창석가 임당회류가 29.5×330.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박실 영감댁 가사 16.7×297.0   상태불량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백졸암종택 회심곡 50.0×18.5   왕손은 귀불귀라. 앞부분 탈락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수곡파 대야고택 언간 19.2×158.5   류실아 살피어라. 1957 가사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 호고와종택 소야랑셩뷰가 20.5×837.0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류씨호고와종택 한글가사     초면이라 반겨울며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이씨 이휘家 원별가 28.3×19.8 行書 1927. 李吉朝, 취하니 먹이온니, 천맥가라, 한쇼가라, 寫記:丁卯年(1927)全州李吉朝書, 所藏註記:冊主李輝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노탄가 14.0×221.2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로탄답록 16.9×576.6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노탄가 18.8×303.3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한글가사 15.3×656.3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한글가사 18.4×332.3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한글가사 18.4×839.9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한글가사 17.4×765.9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한글가사 23.3×370.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전주최씨 인재공파 북애고택 송별답가 24.0×24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뉵십뉴연사 21.3×1106.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초한가 18.7×346.6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전별가 16.2×404.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청회가 18.8×198.0   청회녹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계관중대경 21.7×1542.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화전가 18.7×568.9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노인사향가 18.6×658.9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한글가사 27.2×274.1   백통---,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츅슈가 10.4×232.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묵와고택 수연경축 21.7×921.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원촌파 원대종택 회향가 17.0×359.6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원촌파 원대종택 선유가 26.5×391.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의인파 교리댁 한글가사 21.5×305.8   한국전쟁 고생기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의인파 교리댁 한글가사 21.0×99.7   한국전쟁 직후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의인파 교리댁 한글가사 39.3×28.7   한양가 이본. 임인(1902)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묵쳥가라 23.3×936.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답행가 등 21.3×58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경회가라 22.5×209.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승회가 등 22.5×56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한글가사 23.0×988.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한글가사 18.0×523.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성이씨 하계파 근재문고 묵셩가 19.3×330.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진주하씨 충열공파 풍월가 등 22.3×313.0 行書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평산신씨 제정공파 통제사종가 난회정유가 등 26.0×1437.0   산해쟁유가(유람가). 명월찬, 봉산루, 여자탄, 북천가, 북천답가(군산월애원가류)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제왕문의 16.6×144.0   제왕문의 스승되니 요슌우탕호실일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해동장관 21.4×130.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화류가 25.5×508.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북쳔가 25.5×1026.6   김진형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셕회세친가 23.5×390.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초한가 20.3×358.4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화죠가 16.8×239.8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별곡 30.0×181.0   도산별곡. 초한가 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청량가 25.7×455.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춘유가 25.2×223.6   춘유녹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석춘가 22.9×210.4   영주군 평은면 수도리 姑從姉氏 필적. 정씨문에 시집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초한가 28.2×97.9   가련하다 저군사야 초한가의 일부,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설송공파 주손 오륜가라 16.7×18.9   경신(1920) 유월 16일 성책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장암후 김창길家 화젼가  22.5×236.2   20세기 전반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학사종택 가사집 15.3×22.4 楷書 결락 심함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화류가 18.6×525.7 行書 화슈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김씨 허백당종택 회갑경춘가 22.8×253.5 行書 경오년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교관공파주손가 한양가 34.7×22.7 楷書 卷頭記錄:許進士作, 卷末記錄:元川宅所藏 선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서애파 임여재 주손가 사군가 19.8×1622.5   일부 훼손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서애파 임여재 주손가 대명복수가 18.5×193.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서애파 임여재 주손가 한글가사 17.6×100.7   할수록 허슈는지, 훼손 심함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서애파 임여재 주손가 회혼가 31.6×29.0   회혼가(임여재주손류진사 처), 중녀 명경 축답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창주공(류시복) 경계가 11.0×218.0   교훈가류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창주공(류시복) 망월가 11.0×212.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대명복수가 19.5×157.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경죠감구가 25.8×1157.2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상벽가 23.8×746.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회혼경축가 23.0×647.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베틀가 17.9×1417.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백발가 22.3×695.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한경가 23.5×2025.0   한앵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셩삼문 23.5×2015.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교녀가 29.5×26.0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상벽가     연안이씨 1796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상화농죠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교녀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 북정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학성이씨 월진문회 이휴정 주손 북쳔가 19.5×1343.5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학성이씨 월진문회 이휴정 주손 치명복수가 18.5×980.4   대명복수가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한양조씨 호은문중 조동건家 일월산가 23.5×23.6   적벽부,  화전가(작자 종녀 조애영), 애연가, 일월산가(조애영 15세 때), 귀향가, 회혼탄가, 양애교적숭기(소장자의 외할머니가 작자)책주 조영희, 成冊 낱장본 한국국학진흥원
예천박물관 김대비 훈민가 27.8×19.8   가정 생활과 사회 생활에 있어서 여성이 마땅히 따라야 할 덕목을 하나씩 나열한 교훈서이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창회가 27.4×20.0   부모와 형제자매를 생이별하고 시집살이하러 가는 신세를 한탄한 것이다. 특히, 여자로 태어나서 고향을 떠나야 하는 안타까움과 부모에게 효도를 바칠 길이 없음을 슬퍼한 노래이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안진사 장옥가 27.5×20.0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농춘가 27.4×20.1   주로 영남지방에 널리 전해지는데, 부녀자들이 봄 경치를 즐기며 부르던 노래.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사친가라 18.9×79.2   부모를 그리워 하는 노래이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화전가라 20.8×224.5   화전놀이를 소재로 한 규방 가사(閨房歌辭). ‘화류가(花柳歌)·화수가(花樹歌)·낙유가(樂遊歌)’ 등으로도 불린다. 삼월 삼짇날이나 청명절 등 봄에 일기가 좋은 날을 택해 부녀자들이 산이나 승지(勝地)를 찾아가서 하루를 즐기는데, 이 때의 상화(賞花)놀이를 화전놀이(꽃달임) 또는 화류놀이·꽃놀이라 부른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백월가 27.2×200.4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여자훈계가 18.2×166.7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중춘화전가 24.6×196.2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화전가 20.3×645.6   1960년대 제작된 것으로 추정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가사 25.4×332.7   1970년대 이후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가사 18.3×358.7   1970년대 이후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가사 23.4×292.2   1970년대 이후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유랑가  19.4×202.9   친척들과 유랑한 내용을 기록, '구계리'라는 지명이 언급되어 있음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맥운정또는 식운정 18.9×192.2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계녀가 21.8×624.8   시집가는 딸에게 시집살이의 규범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가사.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북천가 20.3×2253.6   북관에서 명천까지의 여정, 명천 도착과 동시에 방면 소식을 접하고 귀환하는 과정의 강호․태평 등을 차례로 노래하고 있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사친가 26.6×705.2   돌아가신 부모를 그리워하며 읊은 노래.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화수찬가 22.2×727.9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챵회가 26.7×354.2   부모와 형제자매를 생이별하고 시집살이하러 가는 신세를 한탄한 것이다. 특히, 여자로 태어나서 고향을 떠나야 하는 안타까움과 부모에게 효도를 바칠 길이 없음을 슬퍼한 노래이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북우가라 26.7×1387.2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실행석별곡 21.9×414.8   동강 댐공사로 고향이 수몰됨을 안타까워 하며 지은 국문가사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김대비 훈민가 별, 농춘가, 책화가 26.6×639.6   金大妃 訓民歌 : 가정 생활과 사회 생활에 있어서 여성이 마땅히 따라야 할 덕목을 하나씩 나열한 교훈서이다.
弄春歌 : 주로 영남지방에 널리 전해지는데, 부녀자들이 봄 경치를 즐기며 부르던 노래.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安進士 상옥이안진사 상옥이 26.6×351.8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팔도유랑가 26.9×666.4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답화전가, 녀행가 26.7×397.4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김대비 훈민가 26.7×360.2   가정 생활과 사회 생활에 있어서 여성이 마땅히 따라야 할 덕목을 하나씩 나열한 교훈서이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산문 계손녀사 소상상 류택 보아라 26.7×661.2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석별가 27.0×324.2   혼인식을 올린 뒤 친가에 머물다가 시댁으로 아주 살러갈 신행(新行)날을 잡아놓은 신부가 친구들에게 신행풍속을 읊은 노래이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회포사 26.7×357.3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구촌팔경가 23.0×220.5   구계리, 학가산, 비봉산, "태봉이 마을을 안고있다" 등 지명 또는 지역을 유추할 수 있는 기록이 언급되어 있음.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옥설가라  26.1×29.1   우리나라의 지세와 역사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과 한 남자의 일생에 대해 노래한 뒤 인생무상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성책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화전가 19.3×27.9   화전놀이를 소재로 한 규방 가사(閨房歌辭). ‘화류가(花柳歌)·화수가(花樹歌)·낙유가(樂遊歌)’ 등으로도 불린다. 삼월 삼짇날이나 청명절 등 봄에 일기가 좋은 날을 택해 부녀자들이 산이나 승지(勝地)를 찾아가서 하루를 즐기는데, 이 때의 상화(賞花)놀이를 화전놀이(꽃달임) 또는 화류놀이·꽃놀이라 부른다. 성책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한양가 31.0×20.4     성책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한글가사 28.8×23.7   한글소설  성책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화전가 28.9×19.9   화전가의 일종,운달산(문경시 산북면), '외양리' 등 지명이 언급되어 있음 성책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교녀가 19.0×15.8   평소 시집가기 전의 딸을 교훈하기 위하여 아버지가 지어준 것이다 전적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회심곡  20.2×28.2   〈회심곡〉은 불교의 대중적인 포교를 위해 알아듣기 쉬운 한글 사설을 민요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것으로, 본격적인 불교음악인 범패에 비하여 음악형식과 사설이 쉽다. 장단은 가사를 적당히 붙여 나가는 불규칙한 장단이고, 한 구절이 끝날 때마다 꽹과리를 쳐서 리듬도 잡고 공백도 메워 준다. 전적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백발가 20.2×28.2   작자가 꿈에 어떤 걸인행색의 노인을 만나 그로부터 젊은 시절의 행적과 백발의 한스러움을 자탄하는 이야기를 듣는 문답식으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젊은 시절을 값있고 보람 있게 보내라는 교훈적 주제를 드러낸 교술적 성격의 가사이다.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고별가 20.2×28.2     낱장본 예천박물관
예천박물관 화전가 20.2×28.2   화전놀이를 소재로 한 규방 가사(閨房歌辭). ‘화류가(花柳歌)·화수가(花樹歌)·낙유가(樂遊歌)’ 등으로도 불린다. 삼월 삼짇날이나 청명절 등 봄에 일기가 좋은 날을 택해 부녀자들이 산이나 승지(勝地)를 찾아가서 하루를 즐기는데, 이 때의 상화(賞花)놀이를 화전놀이(꽃달임) 또는 화류놀이·꽃놀이라 부른다. 낱장본 예천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