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전통문화 사이트 바로가기
전통과 기록
유교문화
조선의 가례
조선의 교육
옛문서 생활사 박물관
사행록 역사 여행
디지털 하회마을
조선의 전통 가옥
스토리 테마파크
목판 아카이브
만인소
편액아카이브
선인의 일상생활, 일기
ENGLISH
알림마당
메뉴
내방가사란?
기록 주체로서의 여성
소외된 자들의 자기표현과 역사적 대응
낭송과 필사를 통한 집단 기억의 저장
한글서체와 두루마리의 예술성
내방가사 아카이브
유형별
계녀가류
교훈가류
기행가류
노동가류
사향가류
세덕가류
송덕가류
송축가류
시절가류
역대가류
이별가류
탄식가류
화전가류
회고가류
회혼가류
기타류Ⅰ
기타류Ⅱ
연구논문
연구논문
등재추진목록
내방가사 기록유산 등재목록
내방가사란?
기록 주체로서의 여성
소외된 자들의 자기표현과 역사적 대응
낭송과 필사를 통한 집단 기억의 저장
한글서체와 두루마리의 예술성
내방가사 아카이브
유형별
계녀가류
교훈가류
기행가류
노동가류
사향가류
세덕가류
송덕가류
송축가류
시절가류
역대가류
이별가류
탄식가류
화전가류
회고가류
회혼가류
기타류Ⅰ
기타류Ⅱ
연구논문
연구논문
등재추진목록
내방가사 등재추진목록
유형별
연구논문
등재추진목록
Home
>
내방가사 아카이브
>
유형별
>
사향가류
내방가사 아카이브
유형별
계녀가류
교훈가류
기행가류
노동가류
사향가류
세덕가류
송덕가류
송축가류
시절가류
역대가류
이별가류
탄식가류
화전가류
회고가류
회혼가류
기타류Ⅰ
기타류Ⅱ
사향가류(思鄕歌類)
시집온 여성이 고향과 부모님 등 인물들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가사류. 주로 어린 시절의 회상과 부모님의 훈육과정 및 건강을 축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노인사향가
노인사향가 / 1900년대 초반 / 18.6×658.9㎝ / 진성이씨 묵와고택
‘어와가형죵반들아’로 시작하는 가사이다. 친척들과 만나 회포를 푼 후 이별할 때 고향을 그리는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 마지막구절에 ‘슬푸다 이리가면 어느 ᄯᆡ ᄯᅩ 다시 노라볼가’라고 하며 헤어짐을 아쉬워하고 있다.
사친가라
사친가라 / 1870년(경오년) / 28.7×19.9㎝ / 영천이씨 상장군파
표제가 思親歌로 되어있는 전적에 수록된 가사이다. 표지에는 연도가 신미년으로, 내지에는 경오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시집간 딸이 친정 부모님을 생각하여 지었다.